이천이십사년 갑진년여름 기록적인 열대야로 힘들고 어렵고 짜증난 날을 이긴 승자의 가을 모습머리에는 홍단풍 황단풍 화관에 목에는 황금벌판 풍성함의 금메달이 더욱 빛나그 모양 반가워 쳐다보니하늘은 높아지고 먹구름은 뭉게구름으로 햇빛 더욱 밝아계절의 으뜸으로 세상 밝히니 어깨힘은 저절로 솟구쳐 하는
- 홍순제
이천이십사년 갑진년여름 기록적인 열대야로 힘들고 어렵고 짜증난 날을 이긴 승자의 가을 모습머리에는 홍단풍 황단풍 화관에 목에는 황금벌판 풍성함의 금메달이 더욱 빛나그 모양 반가워 쳐다보니하늘은 높아지고 먹구름은 뭉게구름으로 햇빛 더욱 밝아계절의 으뜸으로 세상 밝히니 어깨힘은 저절로 솟구쳐 하는
드러나지 않는 설음이옹이 되어 깊이 들어앉고 켜켜이 쌓인 세월이나이테만 남기고 떠나가면 맺히고 맺힌 천년 한은 눈물로 내려와안개 서린 풀잎 위에동글동글 자리 잡는다눈물의 무게를 지탱하는 풀잎은 힘에 겨워 뒤뚱거리고광합성 작용을 준비하며 억센 생명력을 일깨운다얼굴에 피멍 들어 친정으로 쫓겨온 누이동생의 깊
저녁 어스름이밭이랑을 타고배어나올 때엄마는 흙 묻은호미 던져두고아궁이에 불 지펴옥수수를 삶는다.올망졸망 칠 남매 생각하니 엄마 마음 바쁘기만 한데 저녁 어스름은심술처럼 마당까지 쫓아왔어요. 달빛은 마당가 냇물에 머물고별님은 하늘에 꼭꼭 박혔더니 어느새옥수수 함지에 둘러앉아늦은 저녁 함께 먹고 있어요.
가슴에 품었던 오랜 허기를 눈으로 담으러 나선 하늘 연못맑은 하늘에파란 속살까지 들춘 장백산(長白山) 천지둘레둘레 보아도 채워지지 않는 빈 가슴 갈증만 더해 가네백두산 천지 장군봉에서 굽어보는 그날을 또, 기다린다
누군들구겨진 삶을 다림질하고 싶지 않으리오 옷장에 쌓여가는 헌 옷처럼신발장에 뒷굽 닳은 구두처럼버리지 못해 칭얼대는 삶삶은 자꾸 거짓말을 하데요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면서도나 없이도 그 사람 세상은 잘도 돌아가데요 달궈진 다리미를 가볍게 밀며알듯모를듯웃어보이는저여자 사랑했던 그 사람도너무 착해서 바보 같던 그 사람도사랑해서 떠난다는
아직 깨어나지도 않은게슴츠레 실눈 뜬 하루 앞에서 미화원이 거리를 쓸어가고 있습니다 어제가 남긴 낙서들을묵묵히 지워가는 중입니다 바람이 심술처럼 흩트려 놓은창백한 잎새들도 쓸려가고 곯아떨어진 차량들 사이태우다 버린 꽁초들도 쓸려갑니다 빗자루가 거리를 스쳐간 후에야 비로소 아침은 기지개를 켭니다흔적입니다치
먹구름처럼 검게 탄 속내 들키지 않으려겉으로는찔레꽃같이 환하게 웃었었지요 하늘이 숯덩이같이 탔네요속썩어생긴못된멍울 엄마 가슴을 펼쳐 놓은 듯합니다가슴이 또 아픈가 봅니다 하늘도 아는지엄마, 젖은 눈물 삼키고 나는 웁니다
눈부신 아침을 여는 찬란한 태양을 보라 어두운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들을 보라 우리의 가슴 어찌 벅차지 않을 수 있겠는가 우리의 마음 어찌 설레지 않을 수 있겠는가하나의 태양 아래에 온 세상 환히 빛나고 수많은 별이 빛나 밤하늘을 밝혀주나니 우리의 영혼 어찌 밝지를 않을 수 있겠는가 우리의 희망 어찌 빛나
별 거 아니라고 자위하면서 내심 가슴은 두근거리고 내 등에 그림자 지며 손은 떨리면서시간을 재촉하네몸과 마음은 홀로 거닐고 혼은 마냥먼 산을 넘나들며낮과 밤이 새차게 바뀌는데 왜나는따라가지 못하는가눈물이 내리면 주루루 흘리고선 왜나는날더러 슬픈 눈물의 샘이라 말하지 않는가세월이 지나흐린 눈동자가
고매 둥치에서 새순 돋아나우봉(又峰)1) 월매2)를 꼭 빼 닮았다가지 끝엔듬성듬성흰 매화꽃어릴 적한식 때 먹던진달래 전병(煎餠)처럼 둥근달이 가지 끝에 두둥실 떠오르면 춘궁기무덤 같은 가난이 신음하는 뱃속.1) 우봉: 조선중기 매화그림을 잘 그렸던 문인화가.2) 월매: 우봉이 그린 매화도 가운데 대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