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2025.4 674호 얼룩말 나마

얼룩말 나마가 엄마 얼룩말의 어깨에 바짝 기댔다.“엄마 건강해야 해요.”“그래야지. 곧 나아질 거야.”엄마는 수개월 전부터 몸이 쇠약해져 갔다. 동물원 사육사는 엄마가 좋아하는 당근과 사과와 고구마를 듬뿍 주었지만 한 입 먹고 혀로 밀어냈다. 옆에서 엄마의 행동을 지켜보던 나마가 눈물을 흘렸다.“음식을 더 먹어야 회복되어요.”엄마가 고개를 간신히 끄덕였다.

  • 최주섭
북마크
28
2025.4 674호 석호의 다짐

“엄마, 저 밖에 좀 나갔다 올게요.”석호가 엄마한테 말합니다. 학교에 갔다 와서 숙제하느라 집에만 있었더니 가슴이 너무 답답하고 밖의 일들이 궁금합니다.“그래 알았다. 나갔다 오너라. 어디에 갈 건데?”“산에도 가보고, 바다에도 가보고, 또 우리 학교에도 가볼까 해요.”“어디에 가든 몸조심하고. 해가 지기 전에 꼭 돌아와.” “예. 알았어요.”석

  • 강휘생
북마크
31
2025.4 674호 죽령터널

소백산 터널을 통과하는 중앙선에 고속으로 달리는 KTX-이음(EMU) 열차가 생긴 지도 꽤 오랜 세월이 흘렀다. 기관사 조기철은 고속열차 조종간을 잡은 지 10년이 지났다. 중앙선 철길을 달린 10년의 광음도 지나고 보니 잠깐이었다. 기철은 고등학교 때 물리학에 관심이 있어 대학에 진학하여 물리학자가 되고 싶었으나 가정 형편상 취업이 잘되는 철도대학에 들어

  • 안문현
북마크
46
2025.4 674호 모자 쓴 자화상

1나이 들면서 필수품이 되는 것 중의 하나가 내 경우엔 모자다. 사철 모자를 쓰는 가장 큰 이유는 백발을 가리는 것이다. 겨울에는 보온의 이유도 적지 않다. 뇌졸중의 가족력 때문에 겨울철에 딸에게서 떨어지는 ‘찬 공기 주의령’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장노년의 패션으로 모자를 쓰는 사람도 많다. 그런데 그런 것은 내겐 해당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나 백발을

  • 박철호(춘천)
북마크
48
2025.4 674호 북한산 보살

2004년 어느 봄날 서강대학교를 찾았다. 지혜가 여기에 서 근무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막상 지혜를 만나는 순간 상실감이 밀려왔다.흰 가운에 위생모자를 쓰고 앞치마를 두르고 영락없는 영양사인 줄 알았는데 그것도 아니다. 그냥 학생식당에서 근무한다고 했다. 마침 쉬는 시간이라 커피 한 잔 할 수 있다며 그를 휴게실에 안내하였다.그를 빤히 쳐다보며 실망하느냐고

  • 이정희(소설)
북마크
49
2025.4 674호 환승역에서·2

죽음을 아는가? 많은 사람이 알다시피 숨이 끊긴다고 그 사람의 혼이 육신에서 나와 바로 휙 하고 천당 혹은 지옥으로 가는 것이 아니지 않는가. 이승과 이별하는 혼도 다음 생애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한 법이지. 불교의 윤회를 얘기하는 것이냐고? 노. 불자도 아니고 교인도 못 되지만 적지 않게 살아왔던 인생 짬밥으로 그 정도는 알고 말고. 지구 생성

  • 박준서
북마크
51